본문 바로가기
  • 쉼터

재능4

재능 상장하기 우리는 어렸을 때, 혹은 다 큰 성인이 되고 나서라도 내가 잘하는 것을 깨닫게 될 때가 있습니다. 어려서부터 특정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은 그 재능을 갈고 닦으려 노력하기도 합니다. 그 재능을 써야할 분야를 일찍이 정하고 그 하나의 목표를 향해서 남들보다 조금 더 빨리 출발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성인이 되고 나서도 재능을 발견했다면 하루빨리 그 재능을 사용할 분야를 정하고 계획을 세우겠죠. 어디를 향해 가야 맞는 것일까요?만약 '발표'하는 것에 재능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누군가는 그 재능을 '가르치는 곳'에 쓸 수도 있고 다른 누군가는 '사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자는 선생님이 되고, 후자는 감옥을 가겠죠. 이때, 재능만 있다고 해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진로가 선택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를.. 2025. 7. 15.
재능의 벽 어렸을때부터 우리는 남들보다 잘하는 것이 하나쯤은 있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자연스럽게 자신이 잘하는 것을 찾게 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자신이 잘하는 것을 모른 채로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는 자신이 잘하는 것을 찾기 위해서 '노력'하고 다양한 시도를 해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리고 주변의 귀인이 나의 재능을 발견하는 경우도 즐비하죠. 이런식으로 다양한 과정들을 거쳐서 대부분 우연한 계기로 재능을 찾게 됩니다. 저는 이 순간이 우리의 새로운 삶의 갈림길이 열리는 순간이 아닐까 싶습니다. 자신의 재능을 찾는다면 자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더 선명하게 보이기 마련이죠.만약 어떠한 방법으로도 자신의 재능을 찾아내지 못했다면 어떡해야 할까요? 그저 제자리에 멈춰있어야 할까요?분명 난처할 것입니다. .. 2025. 6. 20.
작지만 큰 '나' '난 왜 이것밖에 못할까?' '난 왜 이렇게 재능이 없지?' '난 여기까지가 최선이야..' 현대인들이 가장 많이 하는 생각 중 하나입니다. 특히나 요즘 인스타그램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의 잘난 순간을 많이 목격하면서 자신과 비교를 많이 하게 되어 더욱더 많이 드는 생각인 것 같습니다. 그들의 삶을 보면서 자신의 부족함이 더 부각되 보이기도 합니다. 너무나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삶을 간과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무엇이 우리를 좌절시키는 지 명확하지도 않은 채로 좌절감을 느낍니다. 현재 사회가 좌절을 강요하는 것 같네요.... 주변에 열등감을 느낄만한 것들이 널리고 널린 가운데 우리가 열등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대로 열등감이 우리 인생을 지배하게 놔둘 수는 없습니다! .. 2024. 5. 31.
머리가 나쁘다는 착각 '너 어떻게 그런 기발한 생각을 하냐?' '쟤 진짜 창의적이다.' 여러분은 창의성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갑작스럽게 기발하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것? 아무도 보지 못 하는 것을 보는 것? 사실 이러한 종류의 창의성은 천재들의 창의성입니다. 머릿속에서 남들은 상상으로만 생각하는 것 또는 상상도 못하는 것을 현실과 연결시키는 창의성이죠. 가우스, 아르키메데스, 갈릴레이 등 보통의 사람들과는 전혀 다른 발상으로 우리를 놀라게 하는 천재들의 전유물입니다. 이러한 창의성은 동경할만한 엄청난 능력이긴 하지만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에겐 이질적인 능력입니다. 그래서 이런 엄청난 사람들과 비교해서 자신은 창의적이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창의성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우리도 충분히 '창의성'을.. 2024. 5. 30.